생활속의 보험법이야기19 보험계약자 위험의 현저한 변경 / 증가 통지의무는? 보험계약에서 보험계약자와 보험자는 계약상대방으로서 다양한 권리의무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보험계약자에게는 여러 통지의무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보험계약 중 위험이 증가한 경우 보험자에게 통지할 의무가 있습니다. 오늘은 보험계약자의 위험의 현저한 증가 변경에 대한 통지의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1. 위험 증가 변경 통지의무란? 보험기간 중에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는 사고발생의 위험이 연저하게 변경 또는 증가된 경우 이와 관련된 사실을 안 때에는 지체 보험자에게 통지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를 위험의 현저한 변경·증가의 통지의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건물손해보험의 경우에는 옆집에서 발생한 화재발생하여 보험목적물에 영향을 끼쳤다면 이와 같은 내용도 통지할 의무를 부담합니다. 이러한 의무를.. 2024. 11. 10. 보험계약의 부활과 실효약관의 효력은? 보험계약도 일종의 계약이므로 보험계약자가 보험료를 지급하지 않은 경우 보험자는 해지를 통하여 게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법에서는 이러한 계약도 유효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였습니다. 오늘은 보험의 계약의 부활과 일정기간 보험료를 지급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계약이 해지되는 실효약관의 효력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보험계약의 부활? 요건은? 보험계약 부활이란 계속보험료가 지급되지 않는 경우 보험자의 계약해지에 의하여 보험계약이 해지되고, 계약환급금이 지급되지 아니한 경우에 보험계약자는 일정한 기간 내에 연체보험료에 약정이자를 붙여 보험자에게 지급하고 그 계약의 부활을 청구할 수 있는데, 이를 보험계약의 부활이라고 합니다.(상법 제650조의 2) 이는 계약해지를 보험계.. 2024. 10. 30. 보험계약자 보험료 지급의무? 보험료 납입 지체하는 경우? 보험자가 보험금을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있듯이 보험계약자는 보험료를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당연히 보험계약이 성립하면 보험료를 지급해야 하는데 특정한 사유로 보험계약자가 보험료를 지체하는 경우 상법에서는 어떠한 법률적 효과가 발생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보험료 지급의무는? 보험계약이 성립하면 보험계약자는 보험자의 위험부담의 대가로 보험료를 지급할 의무를 부담하게 됩니다.(상법 제638조) 이는 보험계약이 대가적인 유상계약이라는 본질상의 필요에 따라 보험자의 위험인수 다시 말해 손해의 보상 또는 일정한 금액의 급부에 대한 대가로서의 성질을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보험료의 지급의무를 부담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1차적으로는 보험계약의 당사자인 보험계약자입니다.. 2024. 10. 22. 손해보험 / 인보험 보험자는 언제 보험금 지급하나?(지급책임요건은?) 보험기간 내에 보험사고로 인하여 피보험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피보험자 또는 보험수익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할 책임 보험자에게 발생합니다.(상법 제638조) 이러한 보험금지급의무는 보험계약에서 보험자가 지는 주된 의무로서 손해보험과 인보험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1. 손해보험 지급책임 요건은? 보험기간 중 보험사고의 발생 : 보험사고는 보험계약기간 안에 발생한 것이어야 합니다. 계약체결 당시 보험사고가 이미 발생한 것을 당사자 쌍방과 피보험자가 알지 못하였거나, 사고는 보험기간 안에 발생하였으나 손해가 보험기간 후에 발생하여도 보험자가 책임을 지게 됩니다. 보험계약자의 보험료 지급 : 보험자의 위험부담책임은 당사자 간에 특별한 약정이 없는 한 보험계약자로부터.. 2024. 10. 14.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