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33 부동산 매매 / 임대 계약 중도 파기 / 해지가 된 경우 중개수수료 복비 지급은? 부동산 계약을 공인중개사를 통해 진행하다 의도한 지 않은 이유로 계약이 해지되는 등으로 중도파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임대인이나 매도인은 수령한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고 임차인이나 매수인은 지급했던 계약금을 포기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렇다면 중개업자에게는 중개수수료를 지급해야 할까요? 오늘은 이에 대한 포스팅을 이어가고자 합니다. 1. 중개수수료란? 공인중개사법 제32조 (1) 중개수수료라 함은 중개 의뢰를 받은 중개업자가 중개 활동을 통하여 거래 당사자 간에 거래 계약을 성사시킨 것에 대한 반대급부적인 성격을 가집니다. 거래 당사자 간에 수수료 지불 문제에 대한 별도의 약정이 없는 한 중개수수료는 거래 당사자 쌍방이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공인중개사법 제32조 제.. 2023. 11. 9. 전세사기 피해지원 주거 / 금융 / 법률 및 심리상담 내용 최근 수원에서도 전세사기가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당분간 고금리, 고환율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전세사기 문제는 우리 사회의 큰 뇌관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보증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전세사기 피해자들을 위한 전세사기 피해지원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금융지원내용 (1) 다가구주택에서 1순위에 있거나, 전세보증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그나마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할 위험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향후 다른 곳으로 이주하기 위하거나 기존 주택에 남아 있으려면 금융과 관련한 지원이 그 어느 때보다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전세사기 피해를 입은 모든 사람들이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이 아쉽기는 합니.. 2023. 11. 8. 저당권이란? / 근저당권이란? 의의 / 차이 비교는? 우리가 흔히 부동산 거래를 위해 등기부등본을 열람해 보게 되는데, 등기 을구에 대부분 근저당설정 등기나 가끔 저당권설정등기가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등기상 나오는 저당과 근저당 등기가 의미하는 내용은 무엇이며, 부동산의 재산권행사에 있어 중요한 제한을 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한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저당권 등기란 (1) 민법 제356조에서는 채권자가 채무자 또는 제3자(물상보증인)로부터 점유를 옮기지 않고, 그 채권의 담보로 제공된 목적물에 대하여 일반채권자에 비해 우선하여 변제를 받을 수 있는 약정담보물권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저당권은 질권과 달리 점유를 수반하지 않고 채무자가 목적물을 사용, 수익 할 수 있어 기업이나 채무자에게 유리한 근대적 금융에 해당한다고 할.. 2023. 11. 6. 중도금(이행의 착수) 지급 후 계약해지, 해제 가능? 부동산 호황기에는 매도인이, 부동산 침체기에는 매수인이 계약금 지급 후 중도금 중 일부를 지급한 이후 계약을 해제하고 싶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처럼 부동산 침체기에는 부동산 호황기에 투자 한 부동산 매수인인들은 중도금 지급 후 과연 계약을 해제를 고민하게 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포스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 계약금만 지급한 상태의 계약해제 (1) 일반적으로 계약금만 지급한 상태에서는 매도인은 배액을 배상하고, 매수인은 계약금을 포기하고 계약을 없었던 것으로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계약금 관련 포스팅을 한번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3.07.23 - [생활속의 부동산이야기] - 가계약금 반환 가능 효력은? 가계약금 반환 가능 효력은? 우리는 .. 2023. 11. 4.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59 다음